전체 글 66

D-웨이브 vs 리게티, 두 회사의 양자 컴기술 전쟁

양자 컴퓨터에도 방식이 있다 – 어닐링 vs 회로 기반, 두 기술의 진짜 차이양자 컴퓨터라고 다 같은 방식은 아닙니다. 캐나다의 D-웨이브(Wave)는 '양자 어닐링'이라는 특수 목적 방식을,미국의 리게티(Rigetti)는 '회로 기반 양자 컴퓨터'를 추구합니다.둘 다 구글·IBM·IonQ와는 다른 길을 가고 있으며,기술의 방향성과 현실 적용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D-Wave와 Rigetti의 기술 구조와 전략을 비교해,양자 컴퓨터의 또 다른 선택지들을 이해해봅니다.1. D-Wave는 왜 '양자 어닐링'에 집중할까?D-웨이브는 세계 최초의 상용 양자 컴퓨터 기업으로,2000년대 초부터 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방식의 컴퓨터를 개발해왔습니다.양자 어닐링은 복..

돈 되는 양자 컴퓨터? IonQ는 진짜로 상장까지 성공했다

양자 스타트업 중 가장 앞서 있는 회사로 평가되는 IonQ는 세계최초로 뉴욕 증시에 상장한 양자 컴퓨터 기업입니다.IBM이나 구글 같은 대기업이 아니라, 한때 대학 연구실에서 출발한 스타트업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받습니다. 이 회사는 정밀한 트랩트 이온 기술과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모델을 앞세워,양자 컴퓨터를 ‘먼 미래’가 아닌 ‘지금 사용 가능한 기술’로 바꾸고 있습니다.1. IonQ는 어떤 회사인가요?IonQ는 2015년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의 양자 연구를 바탕으로 설립된 기술 스타트업입니다.창립자는 물리학자 크리스 먼로와 정연욱 박사로,학계의 연구 성과를 직접 시장에서 사업화한 드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2021년, 양자 컴퓨터 기업 최초로 뉴욕 증시에 상장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구글은 왜 양자 우월성을 다시 꺼냈을까? Willow 실험의 의미

Willow 칩, 그리고 우리가 이해해야 할 진짜 의미2025년, 구글은 다시 한번 ‘양자 우월성(Quantum Supremacy)’이라는 논쟁적인 단어를 꺼내 들었습니다.2019년 Sycamore 칩으로 세상을 놀라게 한 이후, Willow라는 새로운 칩을 통해 "슈퍼컴퓨터로 수십억 년 걸릴 계산을 단 몇 분 만에 끝냈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과연 이 실험은 어떤 의미일까요?그리고 그것이 지금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1. '양자 우월성'이란 무엇인가?양자 우월성이란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실현 불가능하거나 너무 오래 걸리는 계산을,양자 컴퓨터가 훨씬 빠르게 수행했을 때 이를 입증하는 개념입니다. 2019년 구글은 53큐비트 Sycamore 칩으로 슈퍼컴퓨터가 수천 년 걸릴 계산을 200초 만..

양자 컴퓨터는 아직 멀었다고요? IBM은 이미 쓰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도착한 미래, 그리고 우리가 그것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IBM은 2025년 현재, 가장 빠르게 양자 컴퓨터를 실용화에 가까이 가져간 기업입니다.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 양자 컴퓨터를 실감하지 못하죠.이 글은 '왜 IBM이 중요한가'와 '그 기술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기술과 일상의 교차점에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IBM은 어떤 회사이며, 정말 '양자 컴퓨터'를 만들었을까?IBM은 '국제 비즈니스 머신(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의 약자로,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입니다. 한때 PC와 서버 시장의 강자였던 IBM은 2010년대 이후 클라우드, 인공지능, 하드웨어 아키텍처 등으로사업을 재편하며 '기업용 기술 서비..

2025년, 양자 컴퓨터는 어디까지 왔나 – IBM·Google·IonQ 집중 분석

IBM·구글부터 시작되는 '계산의 미래' – 기술 개요와 산업 구조 완전 정리2025년 현재, 양자 컴퓨터는 더 이상 SF의 영역이 아닙니다.구글은 최신 칩 Willow로 양자 우월성을 재주장했고, IBM은 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팅 플랫폼을 이미 운영 중입니다.아이온큐(IonQ), 리게티(Rigetti), 디웨이브(D-Wave) 같은 전문 기업들도상업적 사용 가능성을 향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아직 "가능성은 무한하지만, 실용성은 유동적인 기술”입니다.이 글에서는 양자 컴퓨터의 작동 원리, 기존 컴퓨터와의 차이,그리고 이 시장을 선점하려는 주요 기업들의 전략을 정리합니다.1. 양자 컴퓨터란 무엇인가? – '큐비트 (Qubit)'가 만드는 병렬 세계기존 컴퓨터는 0 또는 1의 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왜 이렇게 다른가? 반도체 전략의 극과 극

같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데, 기술도 운영 방식도 전혀 다른 이유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모두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강자입니다.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두 기업은 사업 전략, 생산 체계, 기술 투자 방향이 놀랄 만큼 다릅니다.이 글에서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어떻게 다른 길을 걷고 있으며,그 차이가 지금과 같은 시장 구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비교 분석 해보겠습니다1. 둘 다 메모리 반도체 기업이다, 하지만 출발점부터 달랐다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모바일 등 다각화된 종합 전자기업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중심으로 시작해 기술 특화와 집중 전략 유지삼성은 애초에 반도체를 ‘전자기기 통합’의 일부로 키웠고,하이닉스는 독립 메모리 기업으로 출발해 전문화와 생존 전략에 초점을..

트럼프 관세로 위협받는 SK하이닉스 – 중국 공장과 반도체 공급망 딜레마

우시와 다롄, 중국 공장이 하이닉스의 성장 기반이자 최대 리스크인 이유요즘 뉴스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관세"입니다.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과 함께, 미국은 다시 한번 중국산 첨단 제품에 대한 제재와 관세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많은 이들이 모르는 사실 하나:SK하이닉스는 여전히 전체 D램 생산의 40% 이상을 중국에서 만들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하이닉스의 중국 내 생산 현황을 시작으로,지금 이 상황이 왜 위험하고도 전략적인 선택이었는지를 짚어봅니다.1. 하이닉스 반도체는 어디서 만들어지나?SK하이닉스의 주요 생산지 구성:한국 (이천·청주): R&D 및 프리미엄 공정 중심중국 (우시·다롄): D램·낸드 대량 생산 중심, 특히 우시는 D램의 핵심 기지미국 (건설 중): 후공정..

HBM3E, 왜 SK하이닉스만 만들 수 있을까 – 수율과 패키징의 비밀

HBM3E가 보여준 수율, 냉각, 적층의 한계와 하이닉스의 기술 돌파AI 시대, 반도체 성능의 핵심은 더 이상 CPU나 GPU만이 아닙니다.이제는 '메모리'의 속도와 안정성이 전체 시스템 성능을 좌우합니다.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HBM(High Bandwidth Memory), 그리고 그 최전선에 SK하이닉스가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HBM이 왜 '만드는 것 자체가 어렵고',그 난관을 어떻게 SK하이닉스가 뚫었는지를 기술 중심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HBM은 왜 이렇게 만들기 어려운가?HBM은 단순한 메모리가 아닙니다. D램 칩을 수직으로 여러 개 쌓고, 이를 실리콘 관통 전극(TSV)으로 연결해 하나의 고속 메모리 뭉치를 만드는 방식입니다.이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난제는 다음과 같습니다:TSV 정..

HBM이 뭐길래, NVIDIA는 SK하이닉스 '만' 찾는가

AI 시대, 가장 비싼 반도체가 된 HBM의 정체와 하이닉스의 기술력AI 시대에 가장 뜨거운 반도체는 GPU가 아닙니다.GPU와 짝을 이루는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입니다.이 글에서는 HBM이 어떤 메모리인지, 왜 AI 반도체의 핵심인지,그리고 왜 SK하이닉스가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는지를 알아봅니다.1. HBM이란 무엇인가 – '속도'와 '대역폭'이 게임을 바꾼다HBM은 High Bandwidth Memory의 약자입니다.말 그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인 '대역폭'이 매우 넓은 메모리이며, 고속 연산이 요구되는 AI·HPC(고성능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차세대 메모리 구조입니다.기존의 D램은 메모리 칩을 수평으로 배열해 데이터 처리 통로를 넓히는..

SK 하이닉스 유일한 메모리 강자로 거듭날까? AI 시대 주목 받는 이유

'삼성밖에 없는 줄 알았는데…?' 반도체 세계의 조용한 거인, SK하이닉스반도체 산업에서 '삼성'이라는 이름은 너무도 익숙합니다. 하지만 글로벌 메모리 시장에서 삼성이 아닌 기업으로 유일하게 확고한 자리를 지킨 기업, 그것이 바로 SK하이닉스입니다.이 글에서는 SK하이닉스가 단순히 살아남은 수준이 아니라, 글로벌 AI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축으로 성장한 이유와 전략을 구체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1. 현대전자에서 하이닉스로, 위기를 넘어선 태생적 생존력SK하이닉스의 뿌리는 1983년 설립된 현대전자입니다.1990년대 삼성전자와 함께 국내 반도체 산업의 양대 축2001년 IMF 위기로 채권단 관리 체제에 들어가며 '하이닉스'로 독립수차례 M&A 시도와 적자 속에서도 D램·낸드 기술력은 결코 무너지지 않음하이닉스..